728x90 반응형 사회일반9 젤렌스키 쿠르스크 저지, 최신 전황과 전망 젤렌스키 쿠르스크 저지, 최신 전황과 전망서막: 쿠르스크 전투의 의미2025년 3월 16일 기준,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쿠르스크 지역에서의 군사 작전을 두고 전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젤렌스키는 최근 "쿠르스크 전황이 매우 어렵다"고 밝히며, 러시아군과 북한군의 합동 공세에 맞서 자국군이 치열하게 저지 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쿠르스크는 2024년 8월 우크라이나군의 기습 점령으로 시작된 전투의 핵심 무대로, 현재 러시아의 대대적인 반격이 이어지고 있는 곳입니다. 과연 젤렌스키의 쿠르스크 저지 전략은 어떤 결과를 낳을까요? 쿠르스크 전황: 최신 업데이트 최근 TV조선(2025년 3월 16일) 보도에 따르면, 젤렌스키는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여전히 작전을 수행 중이라고 확인했.. 사회일반 2025. 3. 16. 2025년 3월, 미세먼지로 뿌연 대한민국 현황… 심한 도시 vs 청정 도시, 대처법까지 완벽 정리! 2025년 3월, 미세먼지로 뿌연 대한민국 하늘… 심한 도시 vs 덜한 도시까지 완벽 정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2025년 3월, 봄의 한가운데에서 대한민국을 뒤덮은 "미세먼지"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따뜻한 날씨와 함께 찾아온 황사와 초미세먼지가 하늘을 탁하게 만들며, "미세먼지"에 대해서 많이 검색하고 계십니다. 엑스(X)에서도 "미세먼지 최악", "마스크 없인 못 살아" 같은 포스트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현재 미세먼지 상황, 대처법, 그리고 대한민국에서 미세먼지가 심한 도시 5곳과 상대적으로 덜한 도시 5곳을 분석해 봤습니다. 1. 2025년 3월, 미세먼지 현황은? 대한민국은 봄철 황사와 대기 정체로 인해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엑.. 사회일반 2025. 3. 15.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쟁점 대한민국 부정선거 의혹과 팩트는?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불거진 부정선거 의혹, 팩트는?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부정선거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 민경욱 전 국회의원, 박주현 변호사 등 일부에서는 투표와 개표 과정에서 조작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고 이에 대한 법적 판결과 선관위의 입장은 다릅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의 쟁점으로 거론되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할 듯합니다. 최근 취임한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 대선에서 부정선거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면서 대한민국의 부정선고 의혹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사람들이 내세운 근거와 이에 대한 반론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사전투표와 본투표 .. 사회일반 2025. 1. 21. 7.1 강진의 지진이 발생한 중국 티베트 자치구에 대해서 알아보자 중국 티베트 자치구 7.1 강진 발생 사망자 95명, 부상자 130명(2025.1.7 현재) https://youtu.be/BDghrRr8YQM 2025년 1월 7일 오전 9시 5분경(현지 시간), 중국 티베트 자치구 르카쩌시 딩르현에서 규모 7.1의 강진이 발생했습니다. 이 지진으로 인해 현재까지 최소 95명이 사망하고 130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수십 차례의 여진이 발생해 피해 규모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도되고 있네요.진앙은 북위 28.50도, 동경 87.45도에 위치하며, 진원의 깊이는 약 10km로 파악되었습니다. 이번 지진은 네팔 국경 인근의 히말라야 산악지대와 인도, 네팔까지 감지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지진은 티베트 자치구 르카쩌시(Shigatse, 日喀则市)에 위치한 딩르현(D.. 사회일반 2025. 1. 7. 24년만에 재심에서 무죄판결 된 김신혜 사건 시간 순서별 정리: 진범은 누구? 김신혜 사건: 시간 순서별 정리 1. 사건 발생 (2000년 3월 7일)전라남도 완도군의 한 마을에서 김신혜(당시 23세)의 아버지가 사망.김신혜는 아버지에게 수면제를 탄 술을 마시게 하고 목을 졸라 살해한 후 시신을 유기한 혐의로 체포됨.사건 당시 김신혜는 아버지와의 갈등, 가정폭력 등을 이유로 범행을 저질렀다는 자백을 함. 2. 수사 및 초기 재판 (2000년~2001년)2000년 4월: 김신혜는 경찰 조사 과정에서 범행을 자백.김신혜는 자신이 범인임을 인정하면서도 동생을 보호하기 위해 자백한 것이라는 진술도 일부 포함.수사 과정에서 강압 및 허위 자백 논란 제기.2001년: 법원은 김신혜에게 무기징역을 선고.검찰 측: 계획적 살인으로 간주.변호인 측: 강압 수사 및 허위 자백 주장에도 불구, 받아.. 사회일반 2025. 1. 6. 최순실 게이트, 40년 역사의 고리에 과연 끝은 있는가? 누구 말 처럼 "이게 나라냐?" 라고 외치고 싶은 마음 뿐이다. 아직 정확한 진실은 수사중이라 확신할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드러난 정황적 증거만으로도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는 소시민들의 마을을 무너뜨리는 데는 부족함이 없을 듯 하다. 박근혜 대통령과 최태민, 최순실(최서원), 그리고 주변의 인물들... 차라리 박지만과 근령등 박대통령 친인척들이 해 먹었다고하면 그나마 허탈감이 덜했을텐데... 그런 비리들이야 늘 있었으니까 ㅠ 그런데 이건 뭐... 쩝... 심한말로 무당이라는 이야기도 나오고 사이비 이단 종교의 개입 정황도 소문처럼 나돌고 있으니... 그래도 21세기에, 잘은 못해도 민주주의 성숙을 기대하면서 참아왔던 국민들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최순실 게이트 최순실의 아버지 최태민부터 시작된 40년이 .. 사회일반 2016. 11. 3. 송유근 저널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에서 표절로 판결해 씁씁함 남겼다 결국 천재 물리학자라고 불리던 송유근과 그의 스승 박석재 교수의 최신 영문 논문이 미국 천체물리학 저널로부터 표절로 판명되어 논문게재에서 철회되었다. 일반인들에게도 범상치 않은 소식으로 들리는데 이는 학문을 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치명상이 될 수도 있다 송유근은 최근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에서 박사학위 논문 심사를 최종 통과했고 내년 2월 18세 3개월의 나이에 박사가 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송유근은 미국 천문학회가 발행하는 천체물리학저널에 2002 박석재 연구위원의 논문을 리뷰하면서 새로운 계산방식을 도입해 논문을 발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내에서 먼저 표절시비가 불거져 나왔다. 논문의 대부분이 2002년 박 연구위원의 논문과 흡사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송유근과 박석재 .. 사회일반 2015. 11. 25. 그것이 알고 싶다: 전북 익산 약촌 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을 보고 분노가 솟구친다 그것이 알고 싶다: 전북 익산 약촌 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을 보고 분노가 솟구친다. 제목 그대로다.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면...우리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불합리와 제도적 오류들 때문에 보는 내내, 보고 난 후에도 불편한 마음 때문에 잘 안보게 되는 프로다...우연하게, 오랜만에 시청했는데...결과는 불편한 마음 뿐 아니라 분노가 치밀어 오른다 ㅠ 2000년 전북 익산에서 택시기사가 살해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살인사건 이후 당시 15세의 용의자가 범인으로 지목되고 최종 10년 구형을 받았다. 지금은 모든 형을 마치고 사회에 나와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 15세의 청소년의 구속과정과 심문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드러난다. 프로그램 자체로 보면 단기간에 실적을 채우려는 경찰과 검찰쪽에서 억울한 사람을 .. 사회일반 2015. 7. 22. 260억 우주인 이소연 항공우주연구원 퇴사, 먹튀 논란, 우주인이 아니라 우주비행참가자 한때 한국인 최초로 우주를 여행한 우주인 이소연씨를 바라보며 대한민국 사람들은 감동의 박수를 보냈었다. 하지만, 미국 시민권자와 결혼, 미국에 경영학 석사 학위 공부를 하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 등등으로 이소연씨에 대한 먹튀 논란이 끊이지 않았었다. 결혼을 하던, 이민을 가던, 사실은 내 알바 아니지만, 국민의 혈세 260억을 단 한사람에게 들여 거대한 프로젝트를 했는데, 그 수혜자이고 그 경험을 다시 사회와 국가에 환원해야 할 것 같은 당사자는 이제 아예 항공우주연구원을 퇴사해 그동안의 먹튀 논란에 확실한 종지부를 찍은 형국이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일부 사이트와 패러디에서는 이소연에 대한 신상털기 내지는 인신공격성 발언 등을 하고 있어 그 격양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물론 당시 이소연의 우주여행은.. 사회일반 2014. 6. 2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